국내 최고의 무한경쟁 중장비 광고 포탈 무한궤됴

  • 모델 : DX400LC   연식 : 2022.07   제조사 : 두산   가격 : 238,000,000
  • 모델 : DX400LC   연식 : 2022.07   제조사 : 두산   가격 : 238,000,000
  • 모델 : DX35Z-7   연식 : 2022.06   제조사 : 두산   가격 : 38,000,000
  • 모델 : HW60A   연식 : 2022.06   제조사 : 현대   가격 : 82,000,000
  • 모델 : DX85R-7   연식 : 2022.06   제조사 : 두산   가격 : 85,000,000
  • 모델 : HX60AMT   연식 : 2022.05   제조사 : 현대   가격 : 52,000,000
  • 모델 : DX65MT-7   연식 : 2022.03   제조사 : 두산   가격 : 51,500,000
  • 모델 : HX150A   연식 : 2021.12   제조사 : 현대   가격 : 95,000,000
  • 모델 : DX55W-5L   연식 : 2021.10   제조사 : 두산   가격 : 88,000,000
  • 모델 : ZX17   연식 : 2021.06   제조사 : 히타치   가격 : 20,500,000
  • 모델 : DX55W   연식 : 2021.06   제조사 : 두산   가격 : 66,500,000
  • 모델 : DX55W   연식 : 2021.06   제조사 : 두산   가격 : 65,000,000
  • 모델 : HX235ACR   연식 : 2021.06   제조사 : 현대   가격 : 92,000,000
  • 모델 : DX380L   연식 : 2021.06   제조사 : 두산   가격 : 185,000,000
  • 모델 : DX55W-5K   연식 : 2021.05   제조사 : 두산   가격 : 73,000,000
  • 모델 : HX140   연식 : 2021.05   제조사 : 현대   가격 : 89,500,000
  • 모델 : DX140LC-5K   연식 : 2021.05   제조사 : 두산   가격 : 97,000,000
  • 모델 : DX220LC-5L   연식 : 2021.04   제조사 : 두산   가격 : 102,000,000
  • 모델 : HX140ACR   연식 : 2021.04   제조사 : 현대   가격 : 93,000,000
  • 모델 : DX140W   연식 : 2021.03   제조사 : 두산   가격 : 118,000,000


커뮤니티

무한궤도 고객센터

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문의하세요.

s-ict@naver.com

회원정보 상세보기
제목 미국 유압 브레이커 시장동향
작성자 무한궤도 등록일 2018-12-18 조회수 1665

미국 유압 브레이커 시장동향

2018-12-15  우은정 미국 로스앤젤레스무역관


- 트럼프 정부의 인프라 프로젝트 진행과 에너지 개발 정책으로 수요 증가 예측 -

- 美 경기 성장세로 인해 건설·건축 산업과 함께 수요 동반 성장 예상 -

 

□ 상품명 및 HS Code

 

  ◦ 상품명: 유압 브레이커(Hydraulic Breaker)

    - 브레이커(Breaker)란, 철이나 비철 금속의 가공에 사용하는 공구 ‘끌’의 머리부에 기계식 왕복 해머로 연속 타격을 가해 암석이나 콘크리트 등을 파쇄하도록 한 공구를 총칭하며, 보통 굴착기에 장착해 사용됨.

    - 유압 브레이커란, 물·기름 등의 액체에 압력을 가해 동력을 생산하는 ‘유압 방식’으로 작동되는 브레이커를 의미함.

 

  ◦ HS Code: 8431.49

 

□ 시장규모 및 시장동향

 

  ◦ 시장규모 및 전망

    - 미 전문 리서치 기관인 IBIS World(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in the US, 2018년 5월 발간)에 의하면, 미국의 건축 장비 생산업은 2017년 기준, 약 305억2060만 달러로 전년 대비 4.0% 성장함.

2018년 규모는 약 319억4130만 달러로 예측되며 전년 대비 4.7% 성장 전망됨.

    - IBIS World는 미국의 건축 장비 생산업의 성장률이 2013년부터 2018년까지 5년 동안 연간 3.1% 감소했으며 특히 2015년에는 16.1%, 2016년에는 9.0% 감소했다고 분석함.

    - 그러나 2017년부터는 본격적인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며, 2018년부터 2023년까지 5년 동안 연간 2.2%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함.

    - 주요 성장 원인은 미국 시장의 경기회복으로 인한 건축, 건설경기 성장으로 꼽히며 미국의 건축, 건설경기는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연간 2.5% 성장함.

    - 또한 트럼프 정부의 고속도로, 다리 등 인프라 시설 확충 및 개선 계획 발표에 따라 수요 증가가 예측되며 향후 관련 산업의 동반 성장이 기대되고 있음.

 

무한궤도-미국 건축장비 생산규모 

 

 

  ◦ 시장동향

    - 미국 건축 장비 생산업의 주요 생산 품목은 파워 크레인, 드래그라인 및 삽(Power cranes, draglines and shovels), 트랙터, 불도저 및 통나무 트랙터(Wheel and crawler tractors, dozers and log skidders), 기타 건축용 장비 및 기기(Other construction machinery and equipment), 트랙터 셔블 이동기(Tractor shovel loaders), 건축용 장비 부품(Parts for other construction machinery), 모터 그레이더, 유지기, 롤러 및 압축기(Motor graders and light maintainers, rollers and compactors), 믹서, 도로 포장기계 및 관련 기기(Mixers, pavers and related equipment), 기타(Other) 등임.

    - 생산 비중은 파워 크레인, 드래그라인 및 삽이 23%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트랙터, 불도저 및 통나무 트랙터 16.5%, 기타 건축 장비 및 기기 생산 14.7%, 트랙서 셔블 이동기 11.1%, 건축 장비 부품 9.0%, 모터 그레이더, 유지기, 롤러 및 압축기 5.2%, 믹서, 도로 포장기계 및 관련 기기 2.5%, 기타 건축 장비 생산이 18.0%를 차지함.

 

 

 

    - 유압 브레이커는 건축, 건설업뿐 아니라 에너지 개발, 채광 산업에서도 사용되며 Freedonia의 보고서에 의하면 미국의 전체 에너지 개발 및 채광 산업(Mining Equipment in the United States, 2018년 9월 발간)은 2017년 기준 약 46억7000만 달러 규모로 집계됨.

    - 이중 드릴 및 브레이커 품목 생산 수요는 2017년 기준, 약 3억1000달러로 2022년까지 연간 7.0% 성장하여 약 4억35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.

 

□ 수입동향

 

  ◦ 미국 유압 브레이커 수입동향

    - 미국의 2017년 유압 브레이커 주요 수입국은 중국, 멕시코, 일본, 독일 및 캐나다임.

    - 2017년 미국의 유압 브레이커 수입액은 총 32억4957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전년 대비 17.32% 수입이 증가함.

    - 중국산 수입액은 7억744만 달러를 기록하여 전년 대비 28.28% 증가했으며, 전체 유압 브레이커 수입 시장에서 21.77%를 차지함.

    - 멕시코산 유압 브레이커 수입은 4억6739만 달러(전체 수입 시장의 14.38%), 일본산은 3억8461만 달러(11.84%), 독일산은 3억860만 달러(9.50%), 캐나다산 수입은 2억8812만 달러(8.87%)를 기록함.

 

무한궤도-미국 유압브레이커 수입 동향

 

  ◦ 대한 수입 규모 및 동향

    - 2017년 미국의 한국산 유압 브레이커 수입은 약 2억6868만 달러를 기록, 미국 전체 유압 브레이커 수입 시장의 8.27%를 점유하여 수입국 중 6위를 기록함.

    - 한국산 유압 브레이커 수입은 전년 대비 23.82% 증가함.

 

□ 경쟁동향

 

  ◦ 경쟁 현황 및 주요 경쟁기업

    - 미국의 주요 건축 장비 생산 시장은 Caterpillar, Deere & Company, Komatsu 등 세계적인 기업들이 선도하고 있으며 Caterpillar사가 전체 시장의 27.2%를 차지하고 있음.

    - 중장비 및 농업용 기기와 장비 생산으로 유명한 Deere & Company사의 시장 점유율은 10.1%이며 일본 기업인 Komatsu는 10%를 점유함.

    - 그 외 Terex Corporation은 2.2%, CNH Industrial NV는 1.6%의 시장을 점유하고 있음. 

 

무한궤도-미국 주요 건축용 장비 생산기업 및 시장 점유율 

 

□ 유통구조

 

  ◦ 유압 브레이커 주요 수요처

    - 미국 시장에서 유압 브레이커는 주로 건축·건설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으며, 중간 유통채널 없이 생산업체에서 실 수요처 또는 중장비 대여 전문기업으로 판매되고 있음.

    - IBIS World에 의하면 미국 건축 장비 생산업의 주요 수요처는 주택 건설(Residential construction) 현장으로 전체 수요의 17.4%를 차지함. 도로, 고속도로 등 인프라 시설(Infrastructure construction) 건설 현장 수요가 14.9%, 상업용 건물 건축(Commercial construction) 수요는 12.8%, 산림 관리(Forestry) 수요는 8.3%, 공공기관 및 시설 건축(Municipal construction) 수요는 8.0%를 차지함.

    - 그 외 수출(Exports) 수요는 38.6%를 차지함. 

 

무한궤도- 2017년 미국의 건축 장비 생산업 주요 수요처 

 

□ 관세율 및 수입규제

 

  ◦ 관세율

    - 유압 브레이커는 제품 종류에 따라 HS Code 8431.49.10 또는 8431.49.90으로 세분화되며, 일반 세율은 무관세가 적용됨.

    - 그러나 해당 HS Code는 올해 7월부터 발효된 미국의 대중 통상제재인 무역통상법 301조 1차 리스트에 포함되어 중국산 제품의 경우 25%의 추가 관세가 부과됨.

 

  ◦ 수입 및 통관 제도

    - 한미 FTA 협정상의 원산지 결정기준에 따라 한국산으로 인정받는 제품은 통관 시 원산지 증명서 등의 필요 서류를 갖춰야 하며, 세관에서 제출을 요구하지 않아도 미리 갖추고 있어야 함.

    - 원산지 증명서, 납품업체로부터 받은 원자재 확인서 등의 관련 서류는 통관일로부터 5년 동안 보관해야 함.

 

□ 시사점

 

  ◦ 트럼프 정부의 인프라 프로젝트 계획 진행과 에너지 개발 정책으로 수요 증가 예측

    - 트럼프 정부는 취임과 함께 대대적인 공공 인프라 프로젝트 계획을 발표한 바 있으며 캘리포니아주를 포함, 다수의 주 정부들은 노후화된 기존 고속도로, 도로 등의 인프라 시설 보수 공사 및 신설 계획을 추진 중에 있어 건축, 건설 자재와 함께 장비 수요 증가가 예측됨.

    - 또한 트럼프 정부는 에너지 개발 관련 환경 규제들을 완화하여, 이는 미국 내 활발한 에너지 개발 붐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에너지 개발 및 채광용 중장비 시장의 동반 성장이 예측됨.

    - 그러나 수요 증가가 예측됨에도 불구하고, 최근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정책의 일환인 무역확장법 232조(2018년 3월 발효)에 따라 수입산 철강 제품에 25%의 추가 관세가 부과되고 있음. 이는 미국 중장비 생산업의 원자재 수급에 영향을 끼쳐, 철강을 원자재로 하는 미국산 중장비의 생산 가격 인상을 초래하고 있음.

    - 또한 미국의 대중 제재인 무역통상법 301조(1차 리스트, 2018년 7월 6일 발효)로 인해 중국산 유압 브레이커(HS Code 8431.49) 제품에 25%의 추가 관세가 부과되고 있음. 한국산 제품은 한미 FTA로 인해 무관세가 적용되므로, 중국산 대비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어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미국의 건축 장비 시장에 유리하게 활용 가능할 것으로 전망됨.

 

  ◦ 현지화를 통한 기술 및 부품 지원이 필수

    - 유압 브레이커를 포함, 건설 현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중장비 및 부품들은 작동에 문제가 생기거나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전체 공사 진행에 차질을 줄 수 있어 현지화를 통한 기술적인 지원과 부품 지원이 신속히 이루어져야 함.

    - 현지 사무실을 통해 주기적으로 제품 홍보, AS 지원, 부품 및 기술 지원을 제공하여 서비스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장기적인 진출 계획을 통해 현지 바이어 및 실 수요처와 상호 신뢰를 쌓는 것이 중요할 것임.

    - 산업별 용도와 수요에 따라 다양한 크기, 용도별 제품을 갖추고 미국의 다문화, 다인종 현장 종사자들을 고려한 다양한 언어의 사용자 매뉴얼 등을 갖추는 등 주요 경쟁사들과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이 필요함을 인지해야 함.

 

 

자료원: IBIS World, Freedonia Group, Global Trade Atlas, ENR Engineering News, Spartan Equipment, 그 외 KOTRA 로스앤젤레스무역관 자료 종합 

 

출처 : KOTRA 해외시장뉴스  

 

첨부파일 기존첨부된 파일이 없습니다.
신고
추천 0

프리미엄(VIP) 매물

건설기계 이야기

커뮤니티목록
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추천 조회
공지 2024년 건설공사 표준품셈 건설공사표준품샘 2024-02-01 0 680
공지 월간 간행물 발행 관리자 2019-10-17 0 7001
공지 건설기계 굴삭기 중고 시세 서비스 오픈... 무한정보 2018-10-15 0 7873
공지 건설기계 임대료 체납 신고방법 및 서식 무한정보 2018-01-05 0 5157
공지 ※게시글 작성시 주의사항※ 무한궤도 2017-05-29 0 2476
387 017신형 회전링크 집게장착 아니키 2025-04-22 0 290
386 2024년 부여군 청년농업인 소형건설기... [1] 농기센터 2024-04-18 0 968
385 의성군, 노후 건설기계 엔진교체 지원 ... 노가 2024-03-27 0 1024
384 청송군, 노후 경유차 배출가스 저감장치... 노가 2024-03-27 0 839
383 화순군, 경유차 매연저감장치 부착 및 ... 노가 2024-03-26 0 807
382 농기계 지게차 '건설기계'로 분류 취·... 김현자 2024-03-25 0 1076
381 광주시, 노후 건설기계 엔진 교체 비용... 노가 2024-03-14 0 783
380 2024년 1분기 건설기계 주요통계 현... 땅파니온천 2024-03-04 0 732
379 지게차 또는 굴착기 조기폐차 사업소개 ... 조기폐차 2024-03-01 0 1020
378 제주도 서귀포시 건설기계 조기폐차 지원... 조기폐차 2024-02-26 0 424
377 건설기계조종사 안전교육 전문교육기관 지... 건설이 2024-02-05 0 477
376 현대중공업, 두산인프라코어 인수 무한궤도 2021-02-08 0 7589
375 두산인프라코어 소송 승소 이끌어, 80... 현대인프라코어 2021-01-14 0 5334
374 KB손해보험 건설기계의 자동차보험을 받... 코로나박멸 2021-01-05 0 4556
373 「건설기계관리법 시행규칙」 개정·시행 ... 무한궤도 2020-12-24 0 19269
처음페이지 이전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다음페이지 마지막페이지